본문 바로가기
지식 사전/식품 화학

무기질의 기능

by 슬돈지 2021. 12. 29.
반응형
신체의 필수 구성 성분

신체를 구성하는 많은 무기질 중에서 칼슘(Ca), 마그네슘(Mg), 인(P) 등은 골격과 치아 같은 경조직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성분이고, 아연(Zn), 구리(Cu), 망간(Mn) 등은 결합조직의 형성에 필수적이다. 

황(S)은 머리털과 손톱 및 피부의 구성 성분이고, 철(Fe)은 헤모글로빈의 구성 성분으로서 혈중 헤모글로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소(Cl)는 위 내 염산의 성분 중 하나로 위에서 일어나는 소화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인체 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 효소, 비타민 등은 무기질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있는데, 대표적으로 탄산 탈수효소나 카르복시 말단분해효소는 아연(Zn)을 함유하고 있으며, 크산틴 산화효소는 몰리브덴(Mo)을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중에서도 무기질 성분으로 티아민, 비오틴은 황(S)을, 비타민 B12는 코발트(Co)를 함유하고 있다. 

 

 무기질의 조절작용

무기질은 생체 내에서 pH및 삼투압을 조절하여 생체 내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전리성 염류는 체액 속에서 신경의 자극 감수성과 근육의 탄성을 유지하고, 소화액으로 하여금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혈액의 pH가 항상 7.3~7.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혈액 중의 단백질 및 무기질(Na+, K+, Ca2+, Mg2+, PO4 3-)이 완충작용을 하여 산 알칼리 평형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즉, 산성 무기질과 알칼리성 무기질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체내를 중성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완충작용을 하는 무기질로 알칼리성 무기질은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이고, 산성 무기질은 염소(Cl), 인(P), 황(S)등이 존재한다. 산을 형성하는 무기질은 곡류, 곡류 제품, 육류, 닭고기, 달걀, 생선에 비교적 풍부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체내에서 염기 반응을 하는 무기질은 과일과 채소에 풍부하다. 또한 무기질ㅇ느 삼투현상에 의한 체액 구획 간 수분이동을 조절하고, 신경자극, 근육 수축성 조절 및 혈액응고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무기질의 촉매작용

무기질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과정 중 에너지를 내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코겐을, 아미노산으로부터 단백질을, 그리고 지방산과 글리세롤로부터 지질을 합성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무기질은 효소의 구성 성분 또는 보조인자로 촉매적 역할을 담당하고 인체 호르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한다. 

예로 철(Fe), 구리(Cu), 아연(Zn), 요오드(I), 황(S), 인(P), 몰리브덴(Mo) 등은 효소의 구성 성분이 되고, Mg2+, Mn2+, Ca2+등의 무기이온은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효소를 활성화시켜 주는 효소계의 촉매로서 작용한다. 

즉, 마그네슘(Mg)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분해 및 합성과정에 필요하고, 그 밖의 구리(Cu), 칼슘(Ca), 망간(Mn), 아연(Zn) 등은 체내 이화작용(catabolism)및 동화작용(anabolism)에서 촉매 또는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필요하다.

칼슘(Ca)은 비타민 B12 흡수를 도와주고, 나트륨(Na)과 마그네슘(Mg)은 단당류의 흡수를 도와주는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아연(Zn)은 세포 내에서 포도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합성에 필요하고, 염소(Cl)는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위산을 생성하는 중요한 무기질이다. 

 

인체에 무기질과 수분이 관여하는 작용과 기능

반응형

'지식 사전 > 식품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수화물의 구조  (0) 2021.12.31
탄수화물  (0) 2021.12.31
지용성 비타민 - 비타민 A  (0) 2021.12.29
비타민의 섭취원  (0) 2021.12.27
비타민의 화학구조 및 성질  (0)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