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사전/건강 심리학

왜 건강심리학이 필요한가

by 슬돈지 2022. 1. 4.
반응형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은 단순히 잘 지내거나 질병을 빠르게 극복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들은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건강심리학의 개입 없이는 이해될 수 없는 다음의 수수께끼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 사람들이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 되었을때, 어떤 사람은 감기에 걸리는 반면 걸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결혼한 남성은 미혼인 남성보다 장수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인 대변동을 경험한 나라에서의 평균수명은 급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건강관리 체계가 미흡한 나를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장수한다. 그러나 여성은 보다 더 많은 신체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질병을 가지고 있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더 자주 이용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선진국은 일반적으로 좀 더 나은 건강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연평균 소득이 22794 달러인 미국의 평균 수명은 대략 77세 이다. 그러나 연평균 소득이 4193달러인 코스타리카의 평균 수명도 정확히 동일하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20세기 초반에는 결핵, 폐렴 및 독감과 같은 전염병이 질병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다. 지금은 심장질환, 암,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장애나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교회에서 예배를 보고, 기도하고,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우리의 건강에 유익하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 장에서 우리는 건강과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의 축적이 건강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우선 철학자들이 정신과 신체 간의 관계(mind-body relationshi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는지, 그리고 정신과 신체가 건강 문제와 관련하여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현재의 관점에 어떻게 도달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다룬다. 

그 다음으로는 건강심리학의 임상 및 연구에 있어 지배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심리사회생물학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건강심리학의 출현에 기여한 의학, 심리학 및 건강관리 체계의 동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반응형